[Python] 실습을 통해 자료형 익히기 ( 자료형 학습 )
·
Development Study/Python
사용할 프로그램: Jupyter Notebook 실습 내용: 각종 변수형을 활용해서 자료형 학습하기 따라 입력해보면서 내용을 함께 보면 더 좋습니다 자료형 모아보기 더보기 단일 자료형 정수형(int) 실수형(float) 복소수형(complex) 논리형(bool) 군집 자료형 문자열(str) 리스트(list) 튜플(tuple) 집합(set) 딕셔너리(dict) 정수형 특징, 사용법 실습 주요 함수 print() - 변수를 출력하기 위한 함수 type() - 변수의 종류를 출력하기 위한 함수 단일 자료형 - 정수형 - int 정수 산술연산 가능 단일 자료형 - 실수형 - float 실수 산술연산 가능 소수점 표현가능 실수 표현에서 .0형태 생략 가능(3.0 -> 3) 단일 자료형 - 복소수형 - comple..
[Python] 파이썬은 무엇일까 (소개, 자료형)
·
Development Study/Python
파이썬 =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에 의해 개발된 언어(1991) 인터프리터(Interpreter) 언어 주 활용분야 개발 분석 장-단점 장점 간결함 오픈 소프트웨어 다양한 패키지(머신러닝 등) 개발과 분석이 모두 가능 단점 일부 느린 연산 속도 앱 개발 한계 개발 환경 프로그램 = 파이썬(Python)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 통합개발환경 Jupyter notebook Pycharm ect... 필자는 Jupyter Notebook을 활용하여 기초 문법에 대해 작성할 예정이다. JupyterNotebook의 단축키, 사용법에 대해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 클릭 JupyterNotebook 사용하기(단축키 모음) 자료형 변수형이라고도 ..
[GoormIDE] 데이터를 관리해보자 - 1 (컨테이너 생성)
·
Development Study/Backend
데이터관리, SQL이용해 데이터를 다루는 이 과목은 기초적인 SQL문을 이용해 데이터를 자유자재로 검색하고 조작하고 심지어는 설계까지 하는 경지를 바라보며 듣는 과목이 아니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교수님의 열정이 가득하고 실습을 바탕으로 하는 수업 방식을 이점으로 생각한다. 개념정리 SQL문은 기본적으로 데이터 정의어(DDL), 조작어(DML), 제어어(DCL)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서 말한 세 가지의 범주에서 거의 모든 조작을 한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명령어들이다. 아래 명령어들은 후에 있을 실습에서 많이 사용될 예정이니 미리 알아두거나 외워두면 조금 더 수월하게 실습을 진행할 수 있다. 데이터 정의어(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구조를 새로 정의하고 기존 구조를 변..
[생산운영관리] 생산운영이란 무엇일까
·
개발 외 공부 저장소/생산운영관리
생산운영은 수요와 공급을 일치시키기 위해 일어나고 있는 모든 사회적인 현상을 다루는 경제학적인 학문이다. 쉽게 말해 수요, 공급에 대해 다룬다 소비자가 필요한 것이 나타났다 -> 그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 사업체 등이 나선다 -> 필요한 만큼 공급한다 의 간단한 방법을 현실 속에서 완벽하게 이루어내기 위한 노력이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을 이론으로 만든 것이 생산운영 관리라고 부른다. 수요와 공급은 무엇일까? 수요: 필요로 하는 것 공급: 수요에 의해 제공되는 것 이해하기 쉽게 A(수요가 발생하는 사람) B(공급하는 사람)으로 두고 예를 들어 보겠다. A: 나는 빵이 먹고 싶어(Need one) B: 마침 빵이 하나가 있으니 줄게(Have one right now) 위와 같은 상황은 수요와 공급이 일..
BaekJoon - 15596번: 정수 N개의 합(함수, PYTHON)
·
Coding Test/BaekJoon_Python
문제 분석 정수 n개가 주어졌을 때, n개의 합을 구하는 함수를 작성하기 정답코드 def solve(a): return sum(a) 정말 간단하게도 sum 함수를 이용해 여러 정수들의 합을 구하는 코드를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다.
BaekJoon - 4344번: 평균은 넘겠지(1차원 배열, PYTHON)
·
Coding Test/BaekJoon_Python
다소 재치있는 제목을 가지고 있는 이 문제는 대학생 새내기들이 가지고 있는 흔한 생각인"나는 반에서 평균 이상은 하고 있겠지 ㅋㅋ" 에 대한 슬픈 진실을 알려주기 위해 만들어진 문제라고 한다. 문제 분석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C테스트 케이스의 학생 수, 학생 수 만큼의 점수를 입력 입력받은 점수의 평균값을 구한 후 구성원 중 몇 %가 평균을 넘는 지 구하는 문제 제약 학생 수는 1~1000의 정수 점수는 0~100의 정수 입력 5 5 50 50 70 80 100 7 100 95 90 80 70 60 50 3 70 90 80 3 70 90 81 9 100 99 98 97 96 95 94 93 91 출력 40.000% 57.143% 33.333% 66.667% 55.556% 유의사항 소숫점 셋째 자리까지 모..